깊은 불면의 고통을 겪으시면서도 10년 동안 수면제 없이 버텨오신 것은 정말 대단한 일입니다. 잠에 대해 '포기하거나 초월했다'는 표현에서 그동안 겪으신 고독하고 힘든 싸움이 느껴집니다. 어린 시절부터 예민했던 잠자리, 삶의 큰 사건 후 찾아온 극심한 불면증, 약을 끊기 위한 노력들, 그리고 지금의 평균 3시간 수면까지, 그 모든 시간 속에서 얼마나 지치고 괴로우셨을까요. 몸은 피곤해도 정신은 곤두서서 잠들 수 없는 밤, 온갖 방법을 시도해도 소용없던 좌절감, 그리고 약 복용에도 따르던 두통과 몽롱함까지, 그 지난한 과정에 진심으로 공감합니다. 특히 '길고 어두운 밤을 홀로 오롯이 버텨내야 한다는 점'이 불면증의 가장 큰 고통이라는 말씀에 마음이 아픕니다. 현재 수면 부족으로 인한 기억력 저하와 감정 조절의 어려움을 겪고 계시기에 다시 약 복용을 고민하시는 것은 당연합니다. 오랜 기간 수면량이 부족했던 만큼, 지금의 힘든 상태를 혼자 감당하려 애쓰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시 약 복용을 시작할지 여부는 본인의 삶의 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되,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이 나의 의지가 아님을 기억하고 스스로를 탓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오늘 밤은 부디 편안하고 깊은 잠을 주무실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그 긴 밤을 홀로 버텨내시는 당신께 위로와 응원의 마음을 전합니다.
수면제를 끊은지 이제 10년 정도가 되었다.
잠을 잘 자게 되어서 약을 끊은 것은 아니다. 그저 잠에 대해서 포기를 했달까, 초월을 했달까.
약을 복용해도 어느 날은 잘 자고, 어느 날은 잘 못자고..
약을 복용하고도 잠을 자지 못하는 날은 다음 날 하루 종일 두통과 몽롱한 상태가 지속되어서
꾸준히 약을 먹는 것도 포기했다.
나의 평균 수면시간은 하루에 세시간 정도.
이마저도 잘 자고 있는건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아직까지는 살아있으니 그걸로 됐다고 생각한다.
나에게 잠은 평생의 숙제이다.
엄마의 말씀으로 나는 어릴 때부터 순하고 무던했는데
이상하게 잠에만 그렇게 예민했다고 한다.
잠자리에도 예민하고 습도와 온도에도 예민해서
계절이 바뀔 때마다 엄마가 참 고생을 하셨다고 한다.
다른 집에서 잠을 자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어서
어린 나를 데리고 외할머니 댁에 놀러가더라도 내가 잠 잘 시간이 되면
나를 들쳐업고 집으로 돌아오셔야 했다고 한다.
내가 기억하는 선에서도 나는 어릴 때부터 잠을 잘 자는 사람은 아니었는데
15년 전쯤 내 인생을 뒤흔들었던 사건을 여럿 겪은 뒤부터
극심한 불면증에 시달리기 시작했다.
잠을 자려고 불을 끄고 누우면 나의 의지와 상관 없이
너무 많은 생각들이 물밀듯이 밀려들어와 잠을 잘 수가 없었다.
어렵게 잠이 들더라도 작은 소리에도 잠에서 깨어버리고
때로는 오히려 너무 조용해서 잠에서 깨기도 했다.
믿어질지는 모르겠지만, 핸드폰을 무음으로 해두어도
메시지가 왔다고 알람 팝업이 뜨는 불빛 때문에 깨는 경험도 여러 번 했다.
그래서 한동안은 잠을 잘 때 전원을 끄고 잠을 청하기도 했다.
주변에서 몸을 많이 움직이지 않아서 그렇다고 하길래
복싱부터 산책까지 여러 가지 강도로 바꿔가며 운동도 해보고
햇빛을 많이 쪼이면 도움이 된다고 하여 낮에는 틈틈이 산책도 했다.
명상도 해봤고 상추도 정말 많이 먹었다.
낮에도 침대에 누워있으면 두뇌가 침대를 자는 공간으로 인식하지 못해서
정작 잠잘 시간에는 잠을 못잔다고 하길래 자는 시간 외에는 침대에 눕지도 않았다.
이렇게 별별 수를 다 써보아도 잠을 자려고 침대에 누우면
이상하게 몸은 너무 피곤한데 도무지 잠이 들지 않았다.
피곤해서 정신은 멍하면서도 이상하게 신경이 곤두서서
베개도 불편하고, 이불도 불편하고, 어떤 자세로 누워있어서 불편해서
베개도 들썩여보고 이불도 들썩여보고
이리저리 뒤척이다가 결국 잠을 포기하고 만다.
우리 가족들은 아무도 술을 마시지 않고
그 중에서도 나는 술을 아예 입에도 대지 않는 사람인데
불면증을 가장 최절정이던 시기에는
술기운을 빌려서라도 조금이라도 자라고
엄마가 술을 사가지고 들어오실 정도였다.
수면제를 먹기 시작하면 평생 끊지 못할 것 같아서
수면제는 최대한 피하고 있었는데
며칠을 꼬박 지새우고 이제는 밤이 오는 것이 두려워지는 지경이 되자
결국 수면제를 복용하기 시작했다.
수면제를 먹으면서도 잠을 잘 자게 된 것은 아니었다.
앞서 말했듯이, 어느 날은 평소보다 잘 자는 때도 있었지만
어느 날은 약을 먹고도 잠을 못자서 하루 종일 두통과 몽롱함에 시달려야 했다.
그래도 아예 잠을 자지 못하는건 아니었으니까 다행이라면 다행이었다.
2년 정도는 매일 약을 먹었고
그 이후로는 몇 년에 걸쳐 서서히 약을 줄여나갔다.
그리고 마지막 1년은 약을 처방받기는 했지만 한번도 먹지 않았다.
그렇게 약을 먹지 않은지 이제 10년 정도가 되었다.
최절정의 불면증을 앓던 시기와 비교하면 그래도 감지덕지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오랜 기간 수면량이 부족하다보니 항상 머리가 맑지 않고
올해 들어서는 기억력도 현저히 떨어진 것을 느낀다.
잠을 잘 자지 못한 날은 내가 왜 이러나 싶을 정도로 정신이 흐릿하고
감정 조절도 잘 되지 않는 것 같다.
그래서 다시 약을 시작해야 하는지 고민이다.
불면증이 괴로운 것은 누군가의 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고
길고 어두운 밤을 홀로 오롯이 버텨내야 한다는 점이다.
오늘 밤은 부디 잘 잘수 있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