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내가 내일을 만든다"
저의 공부자극 명언들은 단순히 공부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생 전반에도 동기부여가 되는 그런 명언들이에요.
특히 공부를 할 때, 또는 무언가를 꾸준히 이어가야 할 때는 따뜻하게 위로가 되는 말들도 좋지만, 나에게 자극이 되어 스스로를 일어나게끔 하는 그런 명언들이 좋더라구요.
그 말들을 곱씹다 보면 지금 이 순간 내가 해야 할 게 뭔지, ‘내가 멈추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뭔지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기도 하구요.
제가 살아오면서 큰 자극을 주었던, 그리고 앞으로도 마음을 다잡게 해줄 그런 공부 자극 명언들입니다.
📝자이언 클라크
NO EXCUSES 변명하지 마라
💡어느날 넷플릭스에서 머리를 한 대 맞은 듯 강한 인상을 남긴 다큐멘터리를 하나 보게 됐어요.
자이언 클라크라는 한 남성은 태어날 때부터 하반신이 없는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포기하지 않고 변명하지 않았어요.
휠체어에 앉아 살기보다 팔로 달리고, 레슬링과 훈련에 매진해서 결국 미국의 유명한 레슬링 선수로 성장했어요.
그래서 그가 한 말이 아주 화제가 되었어요.
“NO EXCUSES, 변명하지 마라.”
정말 간담이 서늘해져요.
우리가 살면서 가장 많이 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변명이죠.
오늘은 너무 피곤해서, 상황이 안 좋아서, 환경이 나빠서 등등...
하지만 결국 이런 변명은 다 핑계일 뿐이에요.
저 역시도 해야할 일을 해야 하는 순간에, 무수한 핑계를 댔던 순간들이 떠올라요.
그러다 가끔 NO EXCUSES 를 떠올리면 그렇게 자극이 될 수가 없더라구요.
오늘 하루쯤은 괜찮겠지~ 하며 미뤘을 때, 결국 내일은 더 무겁게 돌아올 수가 있어요.
그런 변명을 하나씩 지워나가고 핑계를 대지 않겠다는 태도가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참고로 다큐 제목은 ZION 입니다)
📝윤홍균, 자존감 수업 中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괜찮다.
문제는 생각만 많이 한다는 거다.
그러면 뇌는 지치고, 부정적인 생각을 만들어 낸다.
무기력에 빠져나오려면 일단 움직여야 한다.
원치 않아도, 재미없어도, 의미 없어도 된다.
밖에 나가 조금이라도 걸어야 하고, 그것도 안되면 몸부림이라도 쳐야한다.
💡어떤 일을 시작하는 게 어려울 때는, 머릿속으로만 너무 많이 생각해서 시작조차 못할 때가 많았거든요.
이거 해봤자 잘 안 되면 어쩌지?
지금 시작하기엔 늦은 거 아닐까?
이런 부정적인 생각들이 먼저 밀려와서 시작하기도 전에 힘이 빠쳐버린 적 경험이 너무 많았는데요.
윤홍균 선생님의 말처럼 사실 가만히 아무것도 안 하는 건 큰 문제는 아니에요.
하지만 생각만 잔뜩 하면서도 몸은 멈춘 상태가 되면 그냥 그대로 정말 아무 움직임도 일어나지 않더라구요.
이런게 무기력이겠죠?
무기력에서 빠져나오려면 대단한 목표가 아니더라도 작은 움직임만 있으면 되더라구요.
하기 싫어도 일단 책 한장만 펴보기, 집중이 안 되면 밖에 나가서 산책을 해보고, 아니면 그마저도 못하겠으면 그냥 자리에서 일어나 스트레칭이라도 하는 거예요.
별 의미 없어 보이는 행동이지만, 막상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생각이 단순해지고, 그래도 뭔가 하고 있네라는 자존감이 조금이라도 차오를 거예요.
공부든 삶이든, 완벽한 계획보다 중요한 건 작은 몸부림이라는 걸 깨닫게 해준 명언이었어요.
📝무라카미 하루키
새벽 4시에 일어나 5~6시간 글을 씁니다.
오후에는 10km를 뛰고 1500m를 수영한 뒤 책을 읽고 음악을 듣다가 밤 9시에 잠에 듭니다.
저는 이런 일상을 조금의 변화도 없이 매일 반복합니다.
반복은 매우 중요합니다.
최면과 같은 겁니다.
더 깊은 내면으로 저를 이끌어 줍니다.
💡유명 소설작가 하루키의 일상을 이렇게만 들으면 저게 가능한가? 싶기도 하죠ㅎㅎ
사실 여기서 핵심은 반복이에요.
공부를 하면서 가장 힘든게 꾸준함이잖아요. 포기하지 않는 그 끈기가 진짜 어려운거죠.
하루키도 저렇게 사는데... 저 반복의 힘이 저에게도 자극이 되더라구요.
완벽한 하루를 만드는 게 아니라, 단순한 패턴을 꾸준히 쌓아가면서 루틴을 만드는 것.
이게 공부나 일상에도 똑같이 적용되는 것 같아요.
계속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루틴이 될테니 최면처럼 일상이 만들어진다는 거겠죠.
꾸준히라는 말이 뻔하게 들릴지는 몰라도 하루키의 삶을 보면 단순한 반복이야말로 진짜 무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아리아나 허핑턴
완벽을 추구하지 말고, 꾸준함을 추구하라.
💡실제로 허핑턴 포스트 창립자 아리아나 허핑턴이 강연과 저서에서 자주 강조한 말이에요.
영어 원문은 We don’t have to be perfect, just consistent.
하루키의 말처럼 꾸준함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껴져요.
모든 건 한번에 완벽이 아니라 매일 조금씩이 핵심이에요.
저는 완벽주의 성향이 있어서 어떤 일을 시작해서 끝내기까지 정말 많은 시간이 걸리거든요. 완벽하게 끝내고 싶다보니 시간이 좀 걸려요.
그런데 생각해보면, 그런 강박을 좀 내려놔도 될 것 같더라구요.
너무 완벽하게 하려다보니 나 자신을 갉아먹을 때도 있었어요. 오히려 그게 독이 된 거예요.
그래서 이제는 저도 그냥 꾸준히 하는 걸 목표로 잡아요.
글을 못 써도, 집중이 안 돼도, 그냥 하루치 할 일만 끝내는 거예요.
📝스티븐 코비,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中
시간이 부족한 게 아니라, 우선순위가 부족한 것이다.
💡시간이 없어서 못 했어
라는 말을 저도 평소에 많이 하는 말이에요.
그런데 돌이켜보면 이거 하느라, 저거 하느라 그 일을 할 시간이 없었던 거예요.
결국 시간은 다 있는거고 모두에게 공평하게 주어지는 건데 내가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 우선순위가 흐트러져 있었던 거죠.
오늘 이 글만 해도 써야지, 써야지 하다가 귀중한 주말에 쓰는 저처럼요🥹
그래서 전 항상 하루 계획을 세울 때 먼저 중요한 일을 1번으로 적어놓아요.
그러면 그 1번을 끝내고 나면 비교적 시간이 덜 걸리는 2,3,4번은 금방 하게 되더라구요.
진짜 원하는 걸 먼저 두면 시간은 스스로 따라와요!
📝베이브 루스
포기하지 않는 사람을 이길 수는 없다.
💡야구 선수 베이브 루스의 명언이에요.
공부도 인생도 결국 끝까지 버티는 사람이 승리합니다!
속도가 늦어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간다면 언젠가는 도달하게 될 거예요.
누군가 이런 말을 했어요.
잘 하는 사람이 오래 가는 것이 아니라, 오래 가는 사람이 잘 하는 사람이라구요.
지금 당장은 눈에 띄지 않더라도 끝까지 버티면 어느 순간 빛을 보는 날이 온다고 믿어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정신병 초기 증세이다.
💡정말 뼈때리는 자극 100% 명언이에요.
다른 미래를 원한다면, 반드시 어제와는 다른 행동을 해야 한다!
변화 없는 기대는 착각이다. 미래를 바꾸고 싶다면 오늘의 습관부터 바꿔라! 이런 뜻이죠.
똑같은 삶을 살면서 내일은 좀 달라졌으면 하는 기대를 와장창 깨버립니다.
행동을 바꾸지 않고 다른 결과를 기대하는 건 모순이라는 거죠.
공부도, 미래도 마찬가지겠죠.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이 적고, 집중하지 않으면서 성적이 오르길 바라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고
그다지 노력하지 않으면서 내가 하는 일이 잘되길 바라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이겠죠.
그래서 정말 작은 습관 하나라도 좀 더 의미있게 바꾸고 행동하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아인슈타인의 말은 너무 뼈를 때려서 잔인하게 들리기도 하지만, 사실 우리를 깨우는 자극의 말이에요.
변화를 원한다면, 반드시 어제와는 다른 선택을 해야 한다는 것.
달라진 내일을 만들고 싶다면 작은 행동부터 지금 당장 바꾸어봐요.
📝마하트마 간디
미래는 오늘 무엇을 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 말은 공부뿐 아니라 삶 전반에 두고두고 생각하게 만드는 명언이에요.
저도 이 문장을 처음 접했을 때 결국 내일의 나를 만드는 건 지금의 선택이구나 하고 크게 와닿았거든요.
내가 오늘 뭘 하느냐에 따라 내일이 달라지잖아요.
공부할 때도 똑같아요.
내일부터는 열심히 하겠다고 마음만 먹으면 그건 그냥 미래를 미루는 거예요.
아인슈타인과 간디는 기본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요.
오늘 안 했다면, 미래에도 그대로일 것이다.. 라는 메시지를 던져주거든요.
미래는 결국 오늘의 선택, 오늘의 행동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면 하루 하루를 허투루 살지 말고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자극이 돼요.
어제 무슨 일이 있었든 간에 오늘, 지금 하는 일이 훨씬 더 중요해요.
오늘 내가 쌓아올린 작은 습관, 작은 선택들이 모여서 1년 뒤, 5년 뒤의 제가 만들어지는 거니까요.
결국 삶을 바꾸는 건 대단한 마인드와 휘황찬란한 목표가 아니라
오늘 내가 어떤 생각을 품고, 어떤 행동을 하느냐 인 것 같아요.
그래서 저는 이 공부자극명언들이 저한테는 오늘 하루를 더 열심히 살 수 있도록 도와주게끔 긍정적으로 자극으로 다가왔어요.
나는 안 될 거야 라는 부정 대신, 조금씩이라도 해보자 라는 긍정적인 마음이 더 생기게 되기도 했구요.
그래서 저는 뭔가가 자극이 필요할 때는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진짜 늦었다! 이런 부정적인 말들 보다는
아직 늦지 않았으니 오늘 뭐라도 하나 해내고, 대단한 일을 하지 않아도 되니 작은 습관이라도 만들어 꾸준히 하면 언젠가 빛 볼날이 있을 거라고 스스로를 다독여요.
오늘 소개한 이 명언들은 모두 하나의 메시지로 연결돼요.
완벽한 순간을 기다리지 말고, 지금 당장 작은 행동이라도 시작할 것!
그 작은 시작이 쌓이고, 꾸준히 이어지면 삶이 더 풍부해질 거라고 믿습니다.
내일의 내가 원하는 모습을 만들고 싶다면?
오늘 반드시 행동해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