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운전이 무서워지게 된 이유

제가 14살 때 일이었어요.
명절 때마다 할아버지 댁에 갔었는데
차로 3시간 정도 걸리는 거리였어요.


그날도 설날 연휴라서
엄마가 운전을 하고
저는 조수석, 제 동생은 뒷자리에 타고
고속도로를 타고 가던 중이었어요.


겨울이라 눈이 오다 안 오다 했었는데
그래도 도로는 눈이 다 녹은 듯 보여서
위험해 보이진 않았어요.


그런데 순간 도로에 있던 살얼음에 차가
미끄러지면서 차가 3~4 바퀴를 빙빙 돌고
고속도로 중앙분리대에 쾅 박으며
뒤에 오던 차도 그대로 저희 차를 박는
교통사고가 나버렸습니다.


저는 앞 유리에 머리를 살짝 박고
뒷좌석에 누워있던 동생은
앞으로 몸 절반이 튀어나왔어요.


차 유리도 깨지고 몸체도 찌그러진 곳이
많아서 그날 바로 폐차를 할 만큼
정말 큰 사고였어요.


다행히 저희 가족들은 크게 다친 곳은 없었는데
그 후로 운전 트라우마가 생긴 거 같아요.


성인이 되고 운전면허증은 취득하긴 했는데
그때도 실기에서 3번 떨어지고 우여곡절이 많았어요.


운전대만 잡으면 자꾸 그 사고가 생각나고
어렸을 때지만 정말 무서웠던 기억이 생생하거든요.


특히 겨울에 눈이 조금이라도 쌓여도
절대 누가 운전하는 차는 타지 않아요.


평생 운전을 안 하고 살 수도 없고
나중엔 제 차를 마련하고 싶기도 한데
이런 트라우마는 어떻게 극복해야 좋을까요..?

 

0
0
댓글 2
  • 프로필 이미지
    익명1
    운전을 할때 항상 안전 운전을 머릿속에 새기고...
    우선적으로 눈이 오는 날 운전을 피하시는 선에서
    운전을 해보고... 조금씩
    용기를 내보시는 건 어떨까요?
    요즘 운전 안하면 불편한 경우도 많으니깐요...
  • 프로필 이미지
    난방고양이
    상담교사
    
    
    어릴 때 겪은 큰 사고로 인해 트라우마가 생긴 것은 매우 힘든 경험입니다. 그런 기억이 생생하게 남아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감정을 느낍니다. 운전면허를 취득한 것만으로도 큰 성취를 이룬 것이니, 자신을 자랑스럽게 생각해도 좋습니다. 트라우마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작은 단계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안전한 환경에서 운전 연습을 하거나, 전문가와 상담하여 감정을 나누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니, 너무 조급해하지 말고 천천히 나아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