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사람들과 식사하기 싫어요

 

 이런 것도 사회성 결여에 포함이 되는지요

 사람들이 식사를 하자고 하면 꼭 무슨 일이 생겨요 

그래서 무조건 안 된다고 말을 해요 

그러면 사회성이 안 좋은 건지요

 식사를 안 할 수도 있잖아요

 매번 식사를 할 경우가 없더라고요

0
0
댓글 2
  • 프로필 이미지
    잠만보는귀여워
    상담교사
    식사를 할 때 안 좋은 일이 생겨서 속상 하실 것 같아요
    그래도 세상 사람들과 살아가면서 밥 한끼 하는 것은 정말 좋은 일인 것 같습니다
    물론 식사를 할 때마다 나쁜 일이 일어났으면 안 좋은 생각이 들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식사를 한끼 한다는 것은 맛있는 것을 함께 한다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사람과 이어져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요
    사회 생활을 위해서 그리고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기위해서라도 식사 뿐만 아니라 함께 하는 활동을 계속 해서라도 이어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난방고양이
    상담교사
    식사 제안에 대해 거절하는 상황이 사회성 결여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확실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사람마다 식사나 사회적 모임에 대한 선호가 다르고 사회적 상황을 피하고 싶어서 거절한다면, 이는 개인적인 성향일 수 있습니다. 내향적인 성향이나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요~
    "무슨 일이 생긴다"는 이유가 구체적인 상황이나 감정에 따른 것이라면, 그 이유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불안감이나 불편함 때문에 거절하는 것이라면, 이는 사회성 부족의 일환으로 볼 수 있지만, 단순히 개인적인 이유로 거절하는 것이라면 반드시 사회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모든 식사 제안을 받아들이는 것은 힘들 수 있지만, 가끔은 그 제안을 수용해 보세요. 다양한 사회적 경험을 통해 점차 불편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물론 무리하게 할 필요는 없으니 자신의 한계를 고려해 조절하세요. 식사 제안을 거절하는 것이 반드시 사회성 결여로 이어진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자신의 이유를 잘 살펴보고, 어떻게 하면 보다 편안하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하다면 조금씩 도전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