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에 대해.

살아가면서 몇몇 경우에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받은 경험이 있어서 어느때 부터인가 혼자있는 것이편해지기 시작하면서 사회성이 점점 결여되어서 대인관계를 맺는 것 부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집니다. 이런 점을 극복하고 사회의 톱니파퀴처럼 원활하게 돌아가는 것을 상상해 보기도 합니다.

0
0
댓글 2
  • 프로필 이미지
    민트홀릭
    상담심리사
    트라우마로 인해서 대인관계에 어느정도 선을 긋게 되신것 같아요
    트라우마 치료는 정말 오랜시간이 걸려서 극복하고 싶으시다면 장기프로젝트로 생각하셔야 할거 같아요트라우마치료는 이미지 트레이닝이 매우 중요합니다.
    상처가 됐던 순간으로 돌아가서 그때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고 그럴때는 이렇게 대처해야겠다 저렇게 대처해야겠다 메뉴얼처럼 자꾸 반복하는거죠
    너는 너 나는 나... 어떻게 니가 나한테 이럴수 있어라는 보상심리가 반영된 마음은 버리는거에요
    상대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듣고 흘러보내는 연습을 하는 과정입니다.
    사람으로 상처받지만 그 치유역시 사람이 해줘요. 거리감을 유지하려고 애쓰지만 않으셔도 극복하실 수 있을꺼에요 
    
    
  • 프로필 이미지
    난방고양이
    상담교사
    상처를 받은 경험이 있다면 그로 인해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는 것이 어렵 느껴지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심리적 상처는 사람의 대인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혼자 있는 것이 편해지는 것도 그 한 가지 반응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성이 결여되거나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은 극복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해요!!
    과거의 상처와 그로 인한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처가 당신의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첫 걸음입니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것은 관계를 맺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대방이 이야기할 때, 진심으로 관심을 가지고 경청하는 태도를 가져보세요.
    사회는 톱니바퀴처럼 잘 돌아가고 있지만, 그 속에서 자신만의 속도와 방식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사람이 각자의 방식으로 사회에 기여하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소중한 존재이며, 조금씩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좋겠어요. 변화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작은 한 걸음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