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과 성격

사회성이 진짜 부족한 사람과 가짜 부족한 사람이라는 글을 봤어요.

 

사회성이 가짜 부족한 사람

= 내성적이라서 말을 잘 못하는 사람

= 자기 의견을 잘 못 말하는 사람

 

사회성이 진짜 부족한 사람

= 오로지 자기 의견이 맞는 사람

= 일에 대해서 책임을 늘 남한테 마루는 사람

 

많은 내용이 있었지만 가장 와닿아서 기억에 남는 내용을 적어봤어요. 저는 제 의견을 쉽게 제안을 못해서 사회성이 부족한가 고민을 했었는데, 사회성은 성격과는 다르다는걸 알고 남들에게 피해만 가지않게 일을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어요!

우리는 늘 사회성이 부족인지 성격인지 생각해봐야 할 것 같아요

0
0
댓글 1
  • 프로필 이미지
    난방고양이
    상담교사
    정말 깊이 있는 관찰이네요. 사회성과 성격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혼동할 수 있는 부분도 많습니다. 사회성 부족의 기준이나 정의는 개인의 경험이나 배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언급한 "가짜 부족한 사회성"과 "진짜 부족한 사회성"은 각각 다른 맥락과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회성이란 단순히 외향성과 내성성의 문제만이 아니라 대인 관계에서의 태도와 책임감과도 관련이 깊습니다. 자신이 어느 쪽에 해당하는지 이해하게 되면, 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보다 명확히 찾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성격과 사회성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서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되돌아보세요. 자신을 이해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은 분명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