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데 제 얘기 같아서 좀 울컥했어요
트로스터 분들, 안녕하세요! 심리상담사 전명찬입니다
누군가는 사람을 피하는 이유가 단순한 ‘내향성’ 때문이 아닙니다.
지나친 거절 두려움, 자괴감, 관계 회피가
일상 기능을 방해한다면 회피성 성격장애일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부족한 사람”이라 여기며 타인과 거리를 두는 것은
게으름이나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상처를 피하려는 마음이 만들어낸 심리적 방어입니다
출처: 프리픽
1. 회피성 성격장애란 무엇인가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AvPD)는
타인의 평가나 거절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지속적으로 대인관계를 회피하고,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성격장애입니다
핵심은 “사람이 싫어서”가 아니라
“상처받을까 두려워서” 거리두기입니다
2. 주요 특징
- 타인 비판·거절에 대한 극심한 민감성
- 새로운 관계·상황에서 위축감
- 친밀한 관계에서도 긴장과 걱정 지속
- 자기비난·열등감·수치심
- 중요한 기회 포기, 도전 회피
- 고립감과 외로움 반복
3.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다음 중 4개 이상 해당하면
상담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타인이 자신을 비판할까 두렵다
- 친밀한 관계에서도 불안하고 경계한다
- 새로운 사람·상황을 피한다
- 스스로를 무가치한 사람이라 느낀다
- 비교하며 위축된다
- 칭찬을 받아도 불안하거나 의심한다
- 혼자 있으면 외롭지만 관계도 부담스럽다
- “차라리 안 하기”를 자주 선택한다
4. 원인
1) 기질적 요인: 불안 성향, 유전적 영향
2) 성장 경험: 비난적 양육, 수치심, 따돌림 경험
3) 신념 형성: “나는 부족하다”, “거절은 위험하다”
5. 치료 및 극복 방법
1) 인지행동치료(CBT)
- 부정적 사고 탐색 및 수정
- 자기비난 사고 줄이기
2) 노출 기반 관계 연습
- 작은 사회적 시도부터 단계적 확장
3) 감정 조절·마음챙김
- 감정을 인식하고 다루는 능력 강화
4) 약물치료(필요 시)
- 불안·우울 동반 시 SSRI 등 사용 가능
5) 현실적인 관계 목표 설정
- 완벽한 관계가 아닌 “충분히 괜찮은 관계”
📢FAQ : 자주 묻는 질문
Q: 내향성과 차이는 무엇인가요?
A: 내향성은 혼자가 편한 것이며,
회피성은 상처, 두려움 때문에 생겨나는 것입니다
Q: 회피성 성격 장애도 완치되나요?
A: 성향은 유지되지만
사고·행동 패턴 변화로 삶의 질 향상이 가능합니다
Q: 사회생활이 너무 어려운데 어떻게 하죠?
A: 회피 패턴을 조절하면서
환경 조정·심리치료 병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전명찬 상담사에게 상담을 받고 싶다면? ⬇️
------------------------------
전명찬 심리상담사
연극심리상담사 1급
청소년상담사 2급
직업상담사 2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