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피로의 모든 것│번아웃과 차이, 증상, 극복 방법

트로스터 분들, 안녕하세요! 심리상담사 정혜운입니다

 

공감 피로는 “마음이 너무 커서” 생기는 약점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살아온 공감의 결과입니다

 

중요한 것은 그 피로를 인정하고,

자신의 감정과 경계를 지키는 기술을 배우며,

회복을 위한 일상을 다시 세우는 것입니다

 

 

공감 피로의 모든 것│번아웃과 차이, 증상, 극복 방법

 

1. 공감 피로란 무엇인가

 

공감 피로(compassion fatigue)는 타인의 고통이나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공감하고 돌보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서적 및 신체적 탈진 상태로,

보살핌을 제공하는 사람에게 자주 나타납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Secondary Traumatic Stress, STS)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자신의 직접적인 피해 없이 타인의 트라우마를 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PTSD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2. 번아웃과 공감 피로의 차이


번아웃(burnout)은 주로 업무의 과부하와

만성 스트레스에서 비롯되어 발생하는 신체적·정서적 탈진을 의미하며

직무 자체에 대한 의욕 상실, 성취감 저하, 무기력감이 특징입니다

 

반면에 공감 피로는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과도한 감정 이입과 공감적 부담에서 기인하며,

공감 능력 자체가 무뎌지거나 회피하게 되는 양상이 강하게 드러납니다

 

 

 

3. 주 증상 및 영향을 받는 이들


공감 피로의 주요 증상으로는

감정이 무뎌지거나 타인의 고통에 반응이 둔해지는 감정적 탈감,

극심한 무기력감, 분노 조절 어려움,

수면장애와 집중력 저하, 공감력 상실 등이 있으며,

직업적 생산성 저하와 인간관계 소원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는 특히 의료진, 심리상담사, 사회복지사, 응급 구조원

감정 노동이 많은 직업군에서 빈번히 나타납니다

 

 

 

4. 극복과 회복 전략


1) 감정 경계 설정
: 타인의 고통을 받아들이되

그것이 자신의 감정과 구분되어 있음을 인식합니다

2) 자기 공감과 휴식
: 스스로에게 관대해지고,

충분한 휴식과 재충전 시간을 확보합니다

3) 동료 및 지지망 활용
: 같은 직군 동료나 상사,

또는 이해가 있는 사람과 감정을 나누고 지지를 주고받습니다

4) 전문적 도움 받기
: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된다면

상담, 슈퍼비전, 집단 치료 등

전문 개입을 통해 회복 전략을 배우는 것이 안전합니다

 

 

 

📢FAQ : 자주 묻는 질문

 

Q1. 공감 피로는 질병인가요?


공식 진단명은 아니지만

임상적으로 이차 외상 스트레스와 연결되어 다뤄집니다

 

 

Q2. 번아웃과 공감 피로는 어떻게 다른가요?


번아웃은 직무 스트레스 중심,

공감 피로는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과도한 공감이 원인입니다

 

 

Q3. 공감 피로는 특정 직업군에서만 생기나요?


의료·상담·돌봄 직군에서 흔하지만,

가족 돌봄이나 대인관계에서 과도한 공감을 할 때도 누구나 경험할 수 있습니다

 

 

Q4. 공감 피로는 어떻게 회복할 수 있나요?


경계 설정, 자기 돌봄, 지지 체계 활용, 전문 상담을 통해 충분히 회복 가능합니다

 

 

 

정혜운 상담사에게 상담을 받고 싶다면? ⬇️

💛트로스트에서 정혜운 상담사에게 상담 받으러 가기

 

------------------------------

이유 없는 불안, 왜 계속될까요? 내면의 상처가 보내는 경고 신호

정혜운 심리상담사

 

전문상담사 2급

청소년상담사 2급

한국상담학회 정회원

한국상담심리학회 정회원

現 트로스트 전문상담사

現 한음한방신경정신과한의원 심리상담사

現 송파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속 강사

前 토닥토닥 심리상담센터 심리상담사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