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스터 분들, 안녕하세요! 심리상담사 정혜운입니다
가끔은 아무리 쉬어도 피곤하고,
마음이 무겁게만 느껴질 때가 있어요
이런 순간이 오래 이어진다면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번아웃일 수 있습니다
번아웃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지만,
이해하고 극복할 방법을 안다면 다시 회복할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번아웃이란?
번아웃은 단순한 피로를 넘어,
정서적·신체적·정신적으로 모두 고갈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도 공식적으로
직업적 현상(occupational phenomenon)으로 정의했을 정도로
현대 사회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입니다
2. 번아웃 증상 단계
- 초기 경고 단계
: 피로감이 쌓여도 무시하고 계속 일을 이어감
‘내가 더 노력하면 된다’라는 압박감이 커짐
- 저항 단계
: 수면 부족, 두통, 위장 장애, 면역력 저하 등 신체 증상 발생
무기력, 집중력 저하, 작은 일에도 짜증이 쉽게 남
- 소진 단계
: 흥미 상실, 자기 효능감 저하, 대인관계 회피
우울·불안 증상 동반 가능. 일상 기능 유지가 힘들어짐
3. 번아웃의 원인
- 과도한 업무·책임
- 완벽주의적 성향
- 감정 노동 과부하
- 휴식 부족과 불규칙한 생활
4. 번아웃 회복 단계
- 인식하기: 내가 번아웃 상태임을 인정
- 거리 두기: 업무·환경에서 물리적·심리적 거리 확보
- 재조정하기: 목표, 시간, 관계의 균형 다시 잡기
- 회복하기: 자기 돌봄을 생활화하고 자기 효능감을 회복
5. 번아웃 극복 전략
- 휴식의 질 높이기
: 단순히 ‘잠자는 것’이 아니라, 전자기기 사용 줄이기, 산책·명상 같은 회복 활동 포함
- 작은 성취 경험하기
: 작은 과업을 설정해 달성하면서 자기 효능감 회복
- 완벽주의 내려놓기
: ‘최선’과 ‘완벽’을 구분하고, 결과보다 과정에 초점 맞추기
- 사회적 지지 활용하기
: 가족·동료와 솔직한 대화, 지지 그룹 참여
- 전문가 도움 받기
: 상담, 치료, 약물 요법 등 필요 시 활용
- 생활 루틴 재정비
: 규칙적인 수면·운동·식사, 일상 속 건강 습관 유지
6. 번아웃 회복 기간
개인차가 크지만 보통 수주에서 수개월이 걸립니다
중요한 것은 회복 속도를 조급해하지 않는 것입니다
📢FAQ : 자주 묻는 질문
Q1. 번아웃은 누구에게나 생기나요?
→ 네, 직업·나이·성별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올 수 있습니다
Q2. 번아웃은 우울증과 같은 건가요?
→ 번아웃은 주로 ‘스트레스와 과부하’에 기인하지만,
방치되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Q3. 번아웃을 예방할 수 있나요?
→ 자기 돌봄 습관, 균형 잡힌 생활,
사회적 지지망이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정혜운 상담사에게 상담을 받고 싶다면? ⬇️
------------------------------
정혜운 심리상담사
전문상담사 2급
청소년상담사 2급
한국상담학회 정회원
한국상담심리학회 정회원
現 트로스트 전문상담사
現 한음한방신경정신과한의원 심리상담사
現 송파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속 강사
前 토닥토닥 심리상담센터 심리상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