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스터분들, 안녕하세요! 심리상담사 정혜운입니다.
건강염려증이란 실제 질병이 없거나 경미한데도
심각한 병에 걸렸다고 믿는 심리적 상태예요
이 글에서 건강염려증 증상, 테스트, 극복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1. 건강염려증이란 무엇인가요?
건강염려증은 ‘건강 불안장애(Hypochondriasis)’로도 불리며,
몸의 작은 이상에도 심각한 병일 것이라 걱정하는 상태예요
검사 결과 특별한 이상이 없더라도 계속해서 병원을 찾고,
불안을 느끼는 특징이 있어요
건강에 대한 지나친 관심이 삶의 질을 낮추고
일상에 지장을 주는 경우 진단이 필요합니다
2. 건강염려증 주요 증상
- 사소한 통증이나 느낌에도 심각한 병이라고 여겨요
- 같은 부위의 검사를 반복적으로 받아요
- 병원이나 건강정보를 과도하게 검색해요
- 의사에게 진단받아도 안심하지 못해요
- 불안이 심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아요
이러한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건강염려증으로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3. 건강염려증 자가진단 테스트
아래 항목 중 4개 이상 해당된다면 건강염려 경향이 있을 수 있어요
1. 건강에 대한 걱정이 하루에도 여러 번 떠올라요
2. 질병 관련 정보를 자주 검색해요
3. 다른 사람이 아프다는 이야기에 불안해져요
4. 병원 검진 후에도 병이 있을 것 같아 불안해요
5. 가족이나 친구가 걱정하지 않아도 혼자 걱정이 멈추지 않아요
6. 건강 문제로 일상이나 업무 집중이 어려워요
자가진단 결과에 따라 필요 시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아요
4. 건강염려증이 생기는 이유
건강염려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다음과 같은 배경이 영향을 줄 수 있어요
- 과거 자신이나 가족의 질병 경험
- 예민하고 불안을 잘 느끼는 기질
- 스트레스, 우울증, 공황장애 등의 심리적 문제
- 건강 정보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환경
- 주의받고 싶은 무의식적 욕구
5. 건강염려증 극복을 위한 방법
- 인지행동치료(CBT)
: 왜곡된 생각을 바꾸는 훈련을 통해 불안을 조절할 수 있어요
- 약물 치료
: 필요 시 항불안제나 항우울제를 병행하기도 해요
- 건강 정보 단절
: 검색을 줄이고, 신뢰할 수 있는 채널만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해요
- 신체 감각에 덜 집중하기
: 신체 감각을 있는 그대로 두고, 해석하지 않는 연습이 중요해요
- 전문가 상담
: 혼자 극복이 어려울 땐 심리상담이나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통해 도움을 받는 것이 좋아요
6.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습관들
- 하루 1회 이상 건강 관련 검색을 삼가요
- 불안이 올라올 때 주의를 몸에서 바깥으로 전환해요
- 규칙적인 수면과 식사, 가벼운 운동을 생활화해요
- 감정을 나눌 수 있는 사람과의 대화를 늘려요
📢FAQ: 자주 묻는 질문
Q1. 건강염려증은 정신질환인가요?
→ 건강염려증은 과도한 건강 불안이 정신건강의학적 문제로 진단되는 상태이며,
적절한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에요
Q2. 치료하면 완전히 나을 수 있나요?
→ 개인차는 있지만, 인지행동치료와 상담을 통해
많은 분들이 증상 완화와 극복을 경험하고 있어요
Q3. 단순한 건강 걱정과 건강염려증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 걱정이 반복적이고 일상에 방해가 될 정도로 지속된다면
건강염려증일 가능성이 있어요
Q4. 내가 너무 예민한 걸까요?
→ 예민함은 감각의 민감도일 뿐이며, 스스로를 탓하기보다는
현재의 불안에 귀 기울이고, 적절한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해요
정혜운 상담사에게 상담을 받고 싶다면? ⬇️
------------------------------
정혜운 심리상담사
전문상담사 2급
청소년상담사 2급
한국상담학회 정회원
한국상담심리학회 정회원
現 트로스트 전문상담사
現 한음한방신경정신과한의원 심리상담사
現 송파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속 강사
前 토닥토닥 심리상담센터 심리상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