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로스터분들, 안녕하세요! 심리상담사 김하늘입니다.
“요즘 아이가 예민하고, 학교 얘기를 피하려 해요.”
“잘 웃던 아이가 식사도 줄고, 친구도 안 만나려 해요.”
많은 부모님들이 사춘기 때문이겠거니 하고 지나치기 쉬워요
하지만 아이도 우울증을 겪을 수 있어요
특히 6~11세 소아의 우울증 환자는
2018년 대비 2022년 약 92% 증가했어요
성인처럼 눈물로 표현하기보단,
짜증, 공격성, 무기력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해요
소아 우울증,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나요?
소아 우울증의 핵심 증상은 성인과 유사하지만,
표현 방식은 조금 다를 수 있어요
- 기분 저하: 짜증이 많고, 웃는 일이 줄어요
- 흥미 상실: 좋아하던 놀이도 금방 흥미를 잃어요
- 식욕 변화: 갑자기 입맛이 줄거나 폭식으로 이어지기도 해요
- 수면 변화: 잠을 자려 하지 않거나 자주 깨요
- 집중력 저하: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고 실수가 늘어요
- 자존감 저하: “나는 못해”, “나는 필요 없는 사람이야”라는 말을 자주 해요
이러한 변화가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단순한 스트레스가 아닌 우울 증상일 수 있어요
이런 경우 우울증을 의심해보세요 (체크리스트)
아래 항목 중 3개 이상이 해당된다면,
전문적인 상담을 고려해볼 시점이에요
1. 최근 들어 말수가 줄고, 표정이 어두워졌어요 |
2. “죽고 싶다”는 말을 자주 하거나 관련된 그림을 그려요 |
3. 잠을 잘 자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잠만 자요 |
4. 등교를 거부하거나 학업 성적이 갑자기 떨어졌어요 |
5. 친구와 어울리기보단 혼자 있으려 해요 |
6. 작은 일에도 자주 화를 내거나 짜증이 많아졌어요 |
7. 갑자기 과식하거나 식사를 거부해요 |
이런 변화는 사춘기의 감정 기복일 수도 있지만,
전문가 상담을 통해 우울증과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진단과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진단 시에는 아이의 연령과 표현력에 맞는 면담도구와 설문지를 활용해요
- CDSR: 아이가 느끼는 우울 정도를 수치로 평가해요
- CASE: ADHD, 불안장애 같은 동반 질환도 함께 평가해요
치료는 우울증의 정도에 따라 달라져요
- 경증 우울증: 인지행동치료(CBT), 대인관계 치료, 놀이치료 등이 효과적이에요
- 중등도 이상: 항우울제(SSRI 등)와 상담을 병합해서 치료해요
- 유아기 아동: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어려우므로 놀이 중심 정서 치료를 적용해요
- 가족치료: 부모님의 지지가 회복에 큰 영향을 줘요
항우울제 사용에 대해 걱정이 많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자살 위험의 유의미한 증가는 없었고,
치료 효과가 더 크다는 결과가 많아요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역할
아이의 우울증을 단순한 반항이나
사춘기로 넘기지 않는 것이 정말 중요해요
“네 감정은 잘못된 게 아니야”라고 말해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위로를 받아요
- 아이의 작은 표현도 존중해주세요
- “왜 그래?”보다는 “힘들었구나”처럼 감정을 받아들여주세요
- 부모님이 지치지 않도록 보호자 상담도 함께 병행해보세요
치료를 시작한 아이들 중
70% 이상은 6개월 이내에 증상이 완화돼요
적절한 치료로 재발 위험도 낮아질 수 있어요
하지만 방치하면 성인기 만성 우울증이나
자해, 자살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우리 아이의 마음이 어두운 터널에 있다면,
부모님은 그 터널 끝에서 불빛을 비춰주는 존재가 되어주세요
많은 상담사분들이 그 길을 함께 걷기 위해
여러분들을 기다리고 있어요 :)
------------------------------
김하늘 심리상담사
임상심리사 2급
전문상담교사 2급
직업상담사 2급
KAC 인증 코치
한국상담심리학회 정회원
작성자 트로스트관리자
신고글 소아 우울증 증상부터 체크리스트까지 : 우리 아이가 혹시?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