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MBTI 심리연구소 에서 무료로 실시한 결과입니다.
당신은입니다.
ISTJ · INTJ
성격특징
영장류
는 물론 늑대나 까마귀 등 집단 생활을 하는 많은 종에게서 발견되는 정의와 공평함에 대한 갈망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분노하면서 저항하려는 마음이 진화한 것으로 주로 지도자의 일탈과 횡포 또는 구성원 간의 불의를 시정하고 바로 잡으려고 한다.
스스로도 올바른 삶을 위해 수양하고 모범을 보이려는 한편 말과 다른 이중 인격과 보편적이지 않은 자신만의 어떤 원칙을 정하고
스스로와 주변 사람들에게 강요하려는 강박성의 약점을 초래하기도 한다.
주요특징
대쪽에 비유되는 선비의 유형으로서 역사상 ‘불편한 진실’을 보도해온 언론가를 비롯하여
혁명가, 종교인, 교육자, 사상가들로 성장하여 고난의 삶을 산 경우가 많다.
과거 유교는 올곧음에 대한 갈망이 종교로 구체화하고 삶의 실천은 물론 통치 방식으로도
자리 잡은 것인데, 학문과 실천이 융합되어 탐색과 올곧음의 갈망이 어우러지는 전형으로서,
‘사단칠정 (四端七情)’의 논쟁자들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아볼 수 있다(이황 vs. 기대승, 성혼 vs. 이이).
삶의 극적인 전환이 없더라도 사회 곳곳에서, 그리고 다양한 직업 군에서 활동하며
사회의 작은 변화라도 주도하거나 최소한 자신만이라도 절개를 지키는 삶을 지켜낸다.
분노는 정의감과 연동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침팬지 등의 영장류를 비롯한 늑대,
까마귀 등 집단 생활을 하는 많은 종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에너지이다.
부조리에 눈을 뜰 경우 혁명가로서의 삶을 살아갈 수 있지만, 부조리의 벽을 넘지 못할 경우
이를 한탄이나 하면서 무기력하고 사회 부적응적인 반항아의 삶을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
이 세상은 자주 혼란에 빠지며 순리대로 돌아가지 않는 일이 비일비재하므로,
정의로운 사회를 건설한다는 것이 쉽지 않음을 자각하여 어느 정도 여유로운 마음을
가질 수 있다면 차분히 사회의 문제를 풀어나가면서 이 세상의 소금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조직이나 민족의 삶이 공정해지려면 많은 사람들의 자발적 협조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들과 하나가 되기를 끈기 있게 기다린다면, 지나친 강박감에서 벗어나 궁극적으로 폭넓은 사회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작성자 설송
신고글 오늘의 MBTI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