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원 추가 신청 놓칠 수 없죠 병원 진료도 잘 알아보고 쓰면 좋을 거 같아요
다들 민생지원금 신청하고 계신가요~?
저는 아직 날짜가 안 되어서 신청을 못했는데요
민생지원금 2차 대상자 확인하는 방법과
정신과 진료, 심리 상담에도 사용이 가능한지
한번 정리를 해봤어요!
민생지원금 2차 대상자 확인 방법
✅ 대상 기준
2025년 6월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 하위 90% 가구가 원칙적 대상
=> 단, 고자산 가구는 제외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 12억 원 초과,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등)
가구원 수에 따라 건강보험료 상한선이 다르므로,
같은 소득이라도 가족 구성에 따라 대상 여부 달라짐
✅ 확인 방법
1. 카드사 홈페이지·앱
→ 본인 인증 후 조회 가능
2.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The건강보험’ 앱
→ 보험료 기준으로 대상 확인 가능
3. 은행 영업점 / 행정복지센터
→ 신분증 지참 후 확인 요청
4. 토스 앱
→ ‘민생쿠폰 본신청’ 메뉴에서 간단 확인 가능
5. 국민비서 서비스
→ 알림 설정 시 대상 여부 자동 통보
정신과 진료/심리 상담에 사용 가능 여부
가능할 수 있음!
=> 민생지원금(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병·의원, 약국 등에서 사용 가능
따라서 매출 규모 조건을 충족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원이라면 진료비 결제에 사용할 수 있음
단, 조건부 제한 있음
=> 대형 병원이나 매출 기준을 초과한 병·의원은
가맹점 자격이 없어 지원금 사용 불가
실제 여부는 병원마다 다름
=> 모든 정신과 의원이 자동으로 되는 게 아니므로,
반드시 사용 전 확인 필요
✅ 가맹점 확인 방법
1) 정부·지자체 공식 사이트 / 앱
: ‘민생지원금 가맹점 찾기’ 메뉴에서 지역·업종별 검색 가능
2) 카드사 홈페이지·앱
: 카드 충전 방식이므로 각 카드사 앱에서 “민생쿠폰 사용처 조회” 가능
3) 토스·카카오페이 등 플랫폼
: 토스 앱 → ‘민생쿠폰 본신청 → 사용처 안내’ 기능 제공
4) 병원 직접 문의
: 원무과나 접수처에 “민생지원금 결제 가능한가요?” 확인하는 것이 확실함
✅대체 경로 (정부 심리상담 지원 제도)
마음건강 바우처(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 보건복지부 및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제도
우울·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가 있는 경우,
지정된 심리상담센터나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일정 횟수 상담 지원
보건소·정신건강복지센터
: 지역 보건소나 센터에서 무료 또는 저비용 심리상담 제공
청년/청소년 맞춤형 상담 지원
: 일부 지자체는 청년·청소년 대상 바우처나
무료 심리상담 쿠폰을 따로 운영
/
생지원금으로 정신과 진료·상담 결제도 가능할 수 있지만,
가맹점 여부 확인이 필수라고 하네요!
혹시라도 사용이 불가하다면,
정부 심리상담 지원 제도를 활용해봐도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