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영 <구의 증명> 등장인물, 정신분석학적으로 알아보기! (스포 주의)

요즘 굉장히 핫한 책이죠,

바로 최진영 작가의 구의 증명인데요

 

구와 담의 이야기를 보면서,

과연 이 둘을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보면

어떤 인물들일지가 궁금하더라구요?

 

그래서 한번 찾아봤습니다!

 

❌내용 스포 주의

❌전문적이지 않을 수 있음 주의

 

 

최진영 <구의 증명> 등장인물, 정신분석학적으로 알아보기! (스포 주의)

 

1. 구의 정신분석학적 위치

 

프로이트 ― 죽음 충동(타나토스)와 자기 파괴의 전가


- 구는 사회적 폭력(빚, 가난) 속에서 이미 생존 욕망을 상실

- 그는 담에게 “나를 먹어 달라”라고 말하며,
자기 파괴적 충동을 “사랑의 요구”로 전가

- 프로이트적 관점에서 이는 죽음 충동(타나토스)이
‘사랑’이라는 언어를 빌려 표면화된 사례

- 즉, 구의 언표는 “나는 사라지려 하지만,
네 안에서만큼은 남고 싶다
"라는 모순

 

 

라캉 ― 결핍과 불가능한 욕망

- 라캉은 주체를 “결핍의 존재”로 규정
구는 이미 사회 구조 속에서 ‘결핍 자체’가 된 인물

- 그의 “먹어 달라”는 요구는, 담에게 자신의 결핍을 완전히 보충해 달라 는 무의식적 명령

- 그러나 라캉적으로 타자의 결핍을 채워주는 것은 불가능
따라서 구의 발화는 불가능한 욕망의 증언이자, 담을 그 욕망의 덫에 빠뜨리는 장치

 

 

클라인 ― 사랑과 파괴의 이중 과제

- 클라인에 따르면 동일한 대상에게 사랑과 증오가 동시에 투사

- 구의 부탁은 담에게 “나를 지켜 달라”는 애착의 요구이자,
“나를 먹어 달라”는 증오의 과제

- 즉, 구는 담을 사랑과 파괴가 분리 불가능한 자리로 끌어들이며,
그녀를 무의식적 갈등 속에 가둠

 

 

 

2. 담의 정신분석학적 위치

 

프로이트 ― 멜랑콜리적 애도


- 애도는 상실을 인정하고 대상을 외부 세계로 떠나보내는 과정

- 하지만 담은 구를 내보내는 대신,
실제로 자기 안에 삼킴으로써 상실을 부정

- 이는 프로이트가 말한 멜랑콜리(melancholia)의 전형으로,

대상 상실을 자기 파괴적 방식으로 처리하는 병리적 애도

- 담은 구를 자기 안에 들이는 순간 사랑을 완성했다고 믿지만,
사실상 자기 파괴를 실행한 것 

 

 

라캉 ― 결핍의 부정과 폭력적 합일


- 라캉에 따르면 사랑은 결핍을 전제로 함
그러나 담은 이 결핍을 인정하지 않음  

- 그녀는 구를 완전히 내 안에 소유함으로써 결핍을 지우려 함

- 이 행위는 불가능한 욕망을 폭력적으로 밀어붙인 결과로,
라캉의 언어로는 “상징계의 한계를 넘어서는 실재(the Real)의 돌출”에 해당  

- 즉, 담은 구를 먹음으로써 사랑과 폭력의 동일한 뿌리를 드러냄

 

 

클라인 ― 애착과 파괴의 공존


- 담은 구를 지키고 싶지만,
동시에 그를 파괴해서라도 자기 것으로 만들고자 함

- 이는 클라인이 말한 “좋은 대상과 나쁜 대상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반복  

- 담은 구를 향한 애착과 파괴적 충동을 동시에 실행하며,
결국 그 이중성이 작품 전체의 충격을 만듦

 

 

최진영 <구의 증명> 등장인물, 정신분석학적으로 알아보기! (스포 주의)

 

3. 구와 담의 상호작용 ― 무의식적 계약


- 는 죽음 충동을 사랑의 언어로 위장해 담에게 전가
- 은 이를 받아들여 멜랑콜리적 애도의 방식으로 그를 자기 안에 삼킴으로써 응답

👉 두 사람은 이렇게 서로의 결핍과 욕망을 주고받으며,

사랑=폭력이라는 무의식적 계약을 체결

👉 『구의 증명』은 단순히 개인의 광기 서사가 아니라,
두 인물이 함께 만든 무의식적 합의의 비극으로 읽힐 수 있음

 

 

 

4. 마무리 정리


『구의 증명』은 사랑과 폭력이 별개의 힘이 아니라,

동일한 무의식적 뿌리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 죽음 충동과 결핍을 “사랑의 언어”로 변환해 타자에게 전가하는 주체
- : 멜랑콜리적 애도를 통해 그 요구를 수용하며, 결핍을 폭력적으로 지우려는 주체

 

두 인물은 프로이트적 죽음 충동, 라캉적 결핍,

클라인적 애착–파괴 공존을 동시에 드러내며,

사랑과 폭력이 동일한 무의식적 뿌리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흥미롭지 않은가요. . .

찾아보니까 너무 재밌더라구요 . . .

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