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소년이 온다> 줄거리, 개인적인 리뷰, 명대사

오늘은 제가 엉엉 울면서 읽었던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 후기를 한번

적어보려고 합니다!

 

 

한강 <소년이 온다> 줄거리, 개인적인 리뷰, 명대사

 

한강 <소년이 온다> 줄거리

 

너무 유명한 이 작품은, 

1980년 5월에 일어난 광주민주화운동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요

주인공은 소년인 '동호'라고 할 수 있는데요

동호와 동호를 둘러싼 사람들의 시선을 통해

그 당시의 참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해주고 있는 작품이에요

 

장마다 시점과 등장인물이 바뀌고 있어요

또, 망자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서술되어 더 울림을 주는 것 같기도 해요

 

위 사건으로 인해 목숨을 잃은 동호의 시점,

동호의 죽음을 목격한 정미의 시점,

그리고 동호의 어머니의 시점과 출판사 직원의 시점,

마지막으로 다시 동호의 시점으로 돌아와 내용은 마무리되어요

 

우리는 과연 이 사건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져주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어요

 

 

 

<소년이 온다> 명대사

 

개인적으로 제가 이 작품 속에서 

가장 좋아하는 문장이 있는데요

 

 

군인들이 압도적으로 강하다는 걸 
모르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상한 건,
그들의 힘만큼이나 강렬한 무엇인가가
나를 압도하고 있었다는 겁니다.
양심.
그래요, 양심.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게 그겁니다.

 

 

읽을 때마다 마음 한켠이 울리는 문장이에요

이 문장 말고도 정말 많은 문장들이

오래 마음에 남았지만, 이 문장은 잊혀지지 않더라구요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계속해서 고민해나가며

살아갈 때, 이 문장을 기억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소년이 온다> 개인적인 리뷰

 

솔직히 말해서, 책장을 넘기는 게 힘들 정도로

엄청 많이 울었던 소설이에요

 

묘사가 직접적이고 사실적이라서

이걸 내가 집에서 편하게 읽어도 될까? 라는

고민도 했었답니다. . .

 

이 작품은 그래서 어떤 얘기를 하고 싶은걸까 라는 생각도

하면서 끝까지 읽었는데요

위에서 언급했듯이,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는 소설 같았어요

 

그 모든 사건이 다 지나온 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은

과연 이 사건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지,

어떻게 마주보고 대할 것인지 질문을 던지는 것 같았어요

 

<기억>이라는 키워드가 많이 생각나는 소설이기도 했는데요

여러 사람과 시점을 통해서 같은 사건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과 감정을 바라보게 되니까요

지금의 나는 어떻게 기억하는 것이 옳은 것일까? 고민하게 되더라구요

 

그러면서 문득, 내가 무언가 행동하고 있다는

허영심에 빠지지 않도록 경계하는 것도 필요하겠다고 생각했어요

 

기억한다는 사실 하나로, 이 책을 읽었다는 것 하나로

내가 윤리적인 사람이 되어가고 있다고 자만하면 안되겠다는 생각,

계속해서 고민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이 소설이 참 괴롭고 좋았어요

다른 분들도 혹시 읽어보지 않으셨다면,

꼭 한번쯤 긴 호흡을 가지시고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