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에 표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에서
식이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구분해 놓은 표라고 합니다.
저는 굳이 분류하자면 "폭식장애"에 해당하는 것 같네요.
저는 어릴 때부터 식탐이 강한 편이였어요.
제가 둘째고 위로 오빠가 있어요.
아이들은 형제들과 경쟁하는 경우가 많잖아요.
제가 오빠보다 작으니까 먹는 양도 적은게 당연한건데,
어린 마음에 먹는 것도 오빠에게 지기 싫었던 저는
언제나 오빠만큼, 아니 오빠보다 더 많이 먹으려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한 5~6살 때 오빠보다 밥 더 먹으려고
엄마에게 "밥 더줘!!!!"했던게 생각이 납니다.
오빠랑 매번 식사가 끝나고 나면
"난 오늘 3그릇 먹었다~"
"난 4그릇 먹었다~~" 하고 싸웠던 기억이 나요ㅎㅎ
밥 양은 얼만큼인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엄마가 알아서 조절해주시지 않았을까....ㅎㅎㅎ
먹는 것에 욕심을 내는 습관은
다행히 학교에 들어가면서 서서히 사라졌고
외모에 관심이 많아지는 나이가 되고 나서는
음식을 절제하는 습관도 들였구요.
저의 식탐은 제가 직장인이 되면서부터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어요.
저는 일이 많은 편이라 식사 시간을 제때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출근해서는 아예 한끼도 못 먹는 경우도 많았지요.
그렇다보니 어느 순간부터 먹을 수 있을 때 먹어둬야 한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한번 먹을 때 엄청나게 많은 양을 먹게 되더라구요.
엄청나게 먹는 건 식사류 뿐만이 아니라 간식도 마찬가지입니다.
처음에는 과자 한 두개나 작은 빵, 견과류를 챙겨가는 정도였어요.
그런데 점점 더 양이 늘어나더라구요.
그리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런지 미친 듯이 단 것이 땡깁니다.
어릴 때부터 간식을 좋아하긴 했는데
지금은 이게 '맛있어서 먹는건지, 습관적으로 밀어넣는건지' 모를 정도로
엄청나게 먹어댑니다.
제 자리에 휴지통이 있는데 휴지통을 비워주시는 여사님 뵙기가 민망할 정도라
다른 곳에 버리고 올 때도 있어요.
그리고 간식도 먹다보면 배도 부르고 질려야 할 것 같은데
일할 때는 위장에 블랙홀이라도 열리는건지 정말 끝도 없이 들어갑니다.
배부른지도 모르겠어요.
입이 달아서 못먹겠다 생각하면 짠걸 먹기 시작하구요.
단짠단짠... 일하는 내내 과자, 빵, 초콜렛, 사탕 기타 등등....
정말 엄청나게 많은 간식을 먹어 치웁니다.
한달에 간식값으로 들어가는 돈만 해도...
어휴... 부끄러워서 공개하기가 어려울 정도네요.
근데 정작 휴일에 집에 있을 때는 간식이 별로 생각나지 않아요.
그래도 과자를 좋아하니까 전혀 안먹는다고 말하면 거짓말이고
회사에서 먹는 양에 1/10 정도 밖에 되지 않는 것 같아요.
그리고 또 한가지 고민은
비록 식이장애 진단에는 들어가지 않지만
엄청나게 빨리 먹어치우는 저의 식습관입니다.
위에도 말했지만 저는 근무 중에는 식사 시간을 지키는게 참 어려워요.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서 저는 점심 시간에도 책상 앞에 앉아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을 하면서 혼자 밥 먹는 것이 오랜 습관이 되다 보니
말 그대로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이" 먹어치우게 되더라구요.
아무래도 제대로 된 식사를 하기 어렵다보니
보통 샌드위치나 김밥, 빵, 떡과 같은 간편식으로 식사를 대신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가끔 내가 먹고 있는 이 김밥이
이 모양 그대로 내 뱃속에 들어가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어요.
제대로 씹지도 않고 그냥 밀어넣으니까요.
예전에는 그나마 소화력이 좋아서 힘든 줄 몰랐는데
나이가 들고 소화력이 떨어지니까 확실히 속이 많이 불편하고
위장 장애가 오는 것이 느껴지더라구요.
허겁지겁 먹는 것이 습관이 되니까
이제 남들이랑 밥 먹는 것도 좀 부담스러워지는 경우도 생기더라구요.
의식적으로 천천히, 꼭꼭 씹어 먹으려고 하는데
순간 정신줄을 놓고 나면 덩그러니 비어있는 나의 밥 그릇.....
이제 건강하게 먹어도 건강을 걱정해야 할 나이인데
폭식하는 습관, 간식을 달고 사는 습관, 빨리 먹는 습관까지 있으니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고 참 고민이네요..
작성자 익명
신고글 [식이장애] 폭식과 엄청나게 빠른 식사 속도가 고민입니다.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