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조절장애인가

화가 나도 속으로 끙끙거리고 잘 표현하지 않는 스타일이다. 

그러다가 화가 폭발하면 나자신도 어떻게 할 수 없을 정도로 분노조절이 안된다.

그렇게 분노를 표출하고 나면 당시는 속이 뚫리는 기분인데 그 이후 찾아오는 왜그랬지 하는 후회 및 허무함 등으로 인하여 스스로 괴로움을 느낀다.

 이성을 잃을 정도로 화를 낸다는게 걱정이 되기도 하지만 병원치료를 받아야 하는지는 모르겠다.

0
0
댓글 2
  • 프로필 이미지
    난방고양이
    상담교사
    화를 속으로 삼키는 건 좋은 방법이 아니랍니다ㅠㅠ 혼자 끙끙 거리시느라 얼마나 힘드시겠어요.
    쌓이다 보면 소소한 일에 나중에 화가 폭발하기도 하죠. 대부분의 사람들이 화를 참다가 내고 나서는 후회를 많이 하는 것 같더라고요!! 이성을 잃을 정도로 화를 내시나면 이미 스스로 절제하거나 조절하기가 어려운 상황인 것 같아요. 성향이 아니라 분노조절장애 행동유형입니다. 호르몬 분비의 이상이 있거나 감정을 조절하는 뇌역할의 기능이 저하가 되었기 때문이죠.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고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병원을 내원하셔서 정확하게 진단을 받아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프로필 이미지
    잠만보는귀여워
    상담교사
    분노조절장애 증상이 있으시네요.
    그 증상의 원인은 감정을 잘 표출하지 못하셔서 그런 것 같아요.
    감정을 잘 드러내야하는데 그걸하지못하면 마음속에 감정이 곪아서 마음에 병이 생기더라구요.
    화라는 다소 나쁜 감정도 무조건 참지마시고 이를 바르게 표현할 수 있도록 조금씩 노력해보아요.
    내 감정을 표현하되 이 감정이 나쁜방식으로 표현되지 않게요.
    예를 들면 욕을하거나 다른 사람을 무작정 비난하는 방식을 지양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우리 마음의 병이 더 심해지지 않게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기! 먼저 실천해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