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위키에 번아웃증후군에 관해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어 가져왔습니다.
--- 아래 ---
Edelwich와 Brodsky(1993)는 소진의 진행 과정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소진에 빠진 한 사원의 시선을 가정하고 이에 따라 서술한다.
열성: 번듯한 직장에 취직했다. 정말로 하고 싶었던 일이니만큼 열정이 넘친다.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이 있으며 어려운 직무라도 스스럼없이 맡아내고, 자주 있는 야근이나 주말 출근도 자발적으로 행한다. 이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보람과 성취감은 삶의 낙이요 전부다.
침체: 슬슬 부침이 온다. 업무수행 자체는 무리없이 해내지만 처음 입사할 적 느꼈던 흥미는 점점 떨어져간다. 슬슬 직무에서 오는 보람은 뒷전이 되고 자신을 둘러 싼 근무환경을 챙기기 시작한다. 보수, 근무시간, 업무환경은 이 직무를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챙겨야 하는 요소로 승격된다.
좌절: 오랫동안 근무하며 수많은 실패와 좌절을 맛 보았다. 이 직장 역사에 한 획을 긋겠다는 포부는 사라진 지 오래고, 당장의 인사고과를 유지하는 것만으로 벅차다. 자신의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한 의심이 생기고, 동시에 자신의 직무가 가지는 가치에 대한 회의감이 든다. 업무의 무가치함을 맛보는 순간 직면한 업무에 대한 회피의 감정이 솟구친다. 삭신이 멀쩡한 곳이 없다.
무관심: 스트레스는 이미 극한에 다다랐고, 업무는 여전히 벅차다. 흥미가 없는 일을 하려니 커진 스트레스는 가뜩이나 실패투성이인 자신의 직무인생에 더 많은 실패를 가져다 준다. 확 때려치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지만 당장의 벌이가 없다면 절대로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다. 최후의 수단으로 '기권'을 선택한다. 직무에 대한 모든 감정선을 차단한 채 묵묵히 버텨내기를 시작한다. 하지만 여전히 목을 죄는 스트레스는 버티기 힘들다. 더 이상 직장에서 감정적인 안식처를 찾지 못하고 방황한다. 결국 슬금슬금, 퇴사나 이직 방법을 강구하기 시작한다.
위에 가져온 내용이 정말 제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요...ㅠㅠ
신입때는 회사일을 정말 열정적으로 처리했습니다.
나이가 들고 어느 정도 위치에 오른 지금은 정말 더 이상의 발전도 보이지 않고...
아무리 제가 열심히 일을 추진해도 성과는 이미 정해진데로...
항상 최하위 성과급을 몇년째 받다가 보니 제가 하는 일에 의무감은 있지만 열정은 식어가네요...ㅠㅠ
물론 제가 맡은 부서의 업무가 주력 부대를 지원하는 일이다 보니 성과급을 낮게 받는 것은 어쩔수 없는데...
몇년째 계속 성과평가 최하위를 달리다 보니...
어차피 열심히 열성을 다해보았자 결과는 뻔한데라는 자괴감에 빠지네요...ㅠㅠ
좀더 열정에 불을 붙여줄 계기와 탈출구를 찾아 봐야겠어요...ㅎ
작성자 바다사랑태양
신고글 번아웃증후군 - 탈출구를 찾아야겠어요...!!!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