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울증 , 감당하기 힘들 때가 많아요.

제가 이사를 오면서 동네 근처에 친분있는 분들이 없었어요.

다른동네에 친한언니가 있어서 그 지인언니가 저희집 근처에 사는 지인분을 소개시켜주었어요.

아이들 학원을 운영하고 동네 정보력이 많은 분이였어요.

저보다 나이가 조금 더 있는 언니인데도 자기 동네로 이사왔다고 먼저 다가와 동네에 대한 정보도 주시고, 궁금한 것들에 대한 것도 잘 알려주셨어요.

사람들을 많이 만나는 직업을 가진 분이여서 그런지 말씀도 조리있게 하고 재미있게 잘 하시더라구요.

원래 아는 사이는 아니였지만 친근감 있게 이야기 해주시고, 본인 이야기도 솔직하게, 서스름없이 하시더라구요. 빨리 자신을 오픈하고 다가오는 분들 있잖아요? 그런 스타일이더라구요.

저는 친절하게는 대하지만 처음에는 낯가림이 있어서 저의 모든걸 처음부터 오픈하는 스타일이 아니예요.

친절하지만 저의 모든걸 오픈하는데는 시간이 필요한 사람이예요.

그 지인분은 여기에 이미 정착된 분이고, 제가 도움이 더 필요한 사람인데도 먼저 다가와 주시고 챙겨주시더라구요. 서로 알게 된지 오래 되진 않았지만 친한 언니 소개때문이였는지 더 빨리 친해질 수 있었어요.

가끔은 너무 빨리 다가와서,,, 이정도로 우리가 친하나? 할 정도로 자기집 가정사, 시댁, 친정이야기, 이런저런 안좋은 자기 이야기 등 많이 하시더라구요.

그리고 친한언니와 다 같이 커피숍에서 커피도 마시고 종종 만났는데, 같이 쇼핑 가면 재미있겠다. 

온천티켓이 생겼는데 같이 가자. 그러는거예요.

쇼핑은 뭐 그렇다치더라도 여자분들은 아시다시피 친한친구 중에도 아주 절친이랑만 가는 곳이 온천, 목욕탕이잖아요? 그런데 안지 오래 되지도 않고 저는 아직 내적, 외적으로 경계선을 지켜 대하고 있거든요. 친절하지만 선을 지켜 대하는... 저는 조금 독특하다고 생각했어요.

오래된 사이가 아니라 이제 알아가는 사이인데 기분이 좋으면 팔짱을 끼고, 여행을 같이 가자고 하기도 하고, 좋은 곳에 가자고 하고..

어떻게 보면 약간 독특한 듯한? 성향이였어요. 

음식은 잘 못하지만 집에 초대하고 싶다고 해서 집에서 다 같이 밥을 먹기도 했어요.

이렇게 집에 친한 가족들 초대해서 좋은 시간 가져서 너무 좋다고 하더라구요.

저도 그 지인언니도 한번식 초대해서 같이 식사도 하고 했어요.

성격이 워낙 솔직하고 화끈한 부분이 있었어요.

저는 지인언니 소개로 만난 사이여서 더 친해지기도 한 거 같았어요.

조울증 , 감당하기 힘들 때가 많아요.

그러다 가을정도 쯤 연락이 뜸하고 전화도 잘 받지 않더라구요.

지인언니한테 물어보니 계절타는 우울증 비슷한게 있다고 하더라구요.

가을정도 지나면 또 괜찮아진다고 하더라구요.

그렇게 적극적이고 활발하고 솔직하던 사람이

전화도 받지 않고, 소위 말하는 잠수를 타더라구요.

걱정이 되어 연락를 해도 문자도 단답형 아니면 답변이 없고,

걱정되어 지인언니랑 찾아가봤더니 더이상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자기는 우울한데 우리는 행복한거 같아서 연락하기 부담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문지오 가끔 안부 인사만 하고 당분간 연락을 안하기로 했어요.

 

남편과도 알게 되어 연락을 했더니, 자기의 기분에 솔직한 사람이여서 지금은 힘들 때여서 집에서도 굉장히 힘들어하고 짜증을 많이 내고 우울해 한다고 하더라구요.

도울게 없냐고 물었더니 언제 기분이 좋아질 지 몰라 눈치보며 생활해야한다며..

자기는 그래도 일을 다니는 사람이라 저녁에만 상황, 눈치를 보면 되는데,

아이는 엄마와 함께 있는 시간이 더 많아서 걱정이라고 했어요.

평소 음식하는 것도 좋아하지 않는데 자신이 힘드니 아이 밥도 제대로 안해주는 것 같다고 해서..

저랑 지인언니랑 한번씩 반찬도 해주고 있긴해요.

 

겨울초기에 조금 괜찮아진 것 같아 아이와 함께 만났는데 아이가 정말 엄마 기분 산경을 쓰는게 보이더라구요

"엄마 기분 괜찮아?" 라는 말을 자주 하더라구요.

언니도 기분이 조금은 괜찮은데,,

자기 마음의 병이 있다면서 자기의 의지대로 되지 않고

아이에게, 남편에게 미안해서라도 그러려고 하지 않는데 잘 되지않는다고.

자기를 비관하고 저에게도 미안해하고,

너는 긍정적인데, 너는 잘 사는거 같은데..

나는 왜 이럴까? 하면서 자꾸 저랑 지인언니랑 자기 상태를 비교하며 우울해하고,,

듣는 내내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더라구요.

위로의 말을 해도 도움이 안되고,

 

기본적인 성향, 성격은 좋은 사람인데

기분좋을 때는 솔직하다못해 부담스러울 정도도 너무 다가오고,

너무 업 되어서 그 기분에 장단 맞추는게 조금 버겁고,

기분이 안 좋을 때는 한없이 비교하며 나락끝으로 가고,,,

감정기복이 왔다갔다해서 어떤게 성격이고 어떻게 밎춰야하는지 어려울 때가 많아요.

조울증!!! 참 힘들어요.

옆, 주변에 함께 있는 가족들, 친구들, 지인들이 감정체크하고 눈치보는 경우가 많아요.

기분 좋다가 언제 돌변해서 우울해 질지 몰라서ㅜㅜ

성향은 좋은 사람인데, 병이 있는 사람인데

제가 감담하기 힘들 때가 많아 고민이예요.

 

[조울증 테스트문항]

해당되는 항목이 많을 수록 조울증 정도가 심하다고 볼수 있대요. 

체크해보세요.

조울증 , 감당하기 힘들 때가 많아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