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1
암요 잘하는거 맞아요 저도 님과같은 마음가짐이랍니다 정말 힘들어 죽겠거든요 그래도 살아야지요 우리 화이팅해요
기업 전용 멘탈케어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싶다면?
지금 넛지EAP 이용해보기
마음을 챙기는 습관,
트로스트 앱과 함께
만들어 보세요
📢익명도 가능해요. 자세하게 고민을 털어 놓을수록 더 개운해지실 거예요.
내가 원하는 대로 되는 일도 하나도 없고
준비 된것 없이 잘 살고 싶고
나이는 많고 현재의 내 삶만 원망하고
그래서 아무데도 가기 싫고
자존감은 바닥이었고 사람 만나는 것도 싫고
세상이 다 원망스러웠습니다.
그런데
언제인가 부터 이런 삶으로 100세까지 살으려니
한심하더라구요
그래서
싫어도 열심히 해서 지쳐서 쓰러져 잠들게 만들고
토요일 하루는 아무것도 안하고
내가 하고 싶은 보상 데이를 만들어 나만 위해
시간을 쓰고 주일이면 다시 기운내서 아침부터
미친 듯이 바쁘게 살고 있습니다.
저 잘 하고 있는거 맞겠죠?
암요 잘하는거 맞아요 저도 님과같은 마음가짐이랍니다 정말 힘들어 죽겠거든요 그래도 살아야지요 우리 화이팅해요
내 자신을 먼저 챙겨야 주위도 둘러 볼 수 있는 여유도 생기더라구요. 내가 즐거워야 옆에 있는 가족들도 즐겁구요. 나를 위한 보상은 꼭 필요한거 같아요.
나만의 방법을 찾아서 잘 해결하고 있군요 누구나 맞닿뜨릴 수 있는 감정이지만 현명하게 잘 극복하시네요..
네, 잘 살고 계십니다. 우울증 극복하려고 노력하시는 모습이 보기 좋아요.
정말 솔직한 마음을 이야기해 주셔서 감사해요. 그동안 얼마나 힘드셨을지, 글로 전해지는 감정들에 저도 마음이 아픕니다. 지금 님께서는 과거에 깊은 무기력과 낮은 자존감, 세상에 대한 원망으로 인해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던 어려운 시간을 보내셨던 것 같아요. 원하던 대로 되는 일이 하나도 없고, 준비되지 않은 자신을 자책하며 모든 것에 의미를 잃었던 경험이 있으셨다고요. 그러다 문득 이런 삶으로 100세까지 사는 것이 한심하다고 느껴, 이제는 스스로를 밀어붙이며 바쁜 일상을 살고 계시고, 주말 하루는 온전히 자신만을 위한 보상 데이를 만들어서 균형을 잡으려는 노력을 하고 계시는군요. 지금 "저 잘하고 있는 거 맞겠죠?"라는 질문은 어머님의 마음속에 남아있는 불안감과 확신에 대한 간절함이 담겨 있는 것 같다고 느껴져요. 이러한 과거의 힘든 감정들은, 아마도 님의 기대와 현실 사이의 괴리, 그리고 쌓여가는 삶의 무게 때문에 마음이 지치면서 찾아왔을 것 같아요. 준비되지 않은 듯한 자괴감과 나이에 대한 압박감이 님을 더 깊은 우울감에 빠뜨렸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거기서 멈추지 않고, 스스로 변화를 선택하고 적극적으로 삶을 이끌어가려 애쓰시는 모습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싫어도 열심히 몰아붙이고, 자신에게 보상하는 전략은 무너졌던 마음을 일으켜 세우는 강력한 동기가 되어 주었을 거예요. 그럼요, 님. 지금 정말 잘하고 계세요! 스스로 삶의 주도권을 되찾고, 힘든 감정에 압도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그 과정 자체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한 가지 조언을 드린다면, 지금의 방식이 님을 일으켜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지만, 혹시 이 에너지가 소진될까 염려되는 부분은 없는지 한번쯤 자신의 마음을 살피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겠어요. '지쳐서 쓰러져 잠들게' 하거나 '미친 듯이 바쁘게' 사는 것이 때로는 감정을 회피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거든요. 스스로에게 충분한 휴식을 주면서도, 삶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향일 것 같아요. 가끔 찾아오는 힘든 감정들을 애써 밀어내기보다는, 잠시 마주하고 어루만져 주는 연습도 필요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님께는 분명 강한 회복 탄력성이 있으시니, 지금처럼 꾸준히 자신을 돌보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이어가시면 더 단단하고 행복한 삶을 만드실 수 있을 거예요. 님의 모든 노력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정말 잘 하고 계세요 — 스스로를 돌보려는 구체적 행동(보상 데이·휴식·다시 바빠지기)은 회복에 아주 중요한 신호입니다. 🙂 지금 하는 방식은 ‘쉬지 않고 버티기’가 아니라 의도적으로 회복 시간을 만드는 방식이라 훨씬 건강해요. 몇 가지만 더 지켜보면 좋아요: 보상 데이는 꼭 지키되 과하지 않게 회복이 되도록 설정하세요. 평일의 ‘미친 듯한 바쁨’이 다음 보상일을 기대하게 한다면, 작은 휴식(하루 10–20분)도 일상에 넣으세요. 꾸준한 수면·영양·운동은 감정 회복의 기초입니다. 감정이 계속 가라앉거나 절망감이 반복되면 전문가 상담을 고려하세요 — 혼자보다 훨씬 안전하고 빠르게 나아질 수 있어요. 지금처럼 자신의 패턴을 알고 고쳐나가려는 태도 자체가 이미 제대로 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지금 하고 있는 걸 계속 지키세요 — 충분히 잘하고 있습니다.
정말 잘하고 계시네요 오로지 나만을 위한 보상데이를 만드셨다니 멋지십니다
자신의 삶에 대해 솔직하게 털어놓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 느끼고 계신 감정들에 깊이 공감합니다. 아무것도 준비되지 않은 것 같고, 나이는 들어가는데 현실은 답답하고, 그래서 모든 것이 원망스럽고 무기력했던 시간들을 용기 있게 이겨내고 계시는군요. 그런 힘든 상황 속에서도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생각으로 스스로를 일으켜 세우고, 매일을 치열하게 살아내고 계신 모습이 정말 놀랍고 대단합니다. 싫어도 열심히 해서 지쳐 잠들고, 온전히 자신만을 위한 보상 데이를 만들며 균형을 찾아가고 있다는 것이 매우 현명한 방법처럼 느껴져요. 네, 정말 잘하고 계십니다. 포기하지 않고 스스로를 다독이며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는 지금의 당신은 누구보다 빛나고 용기 있는 사람입니다. 지금처럼 지치면 쉬어가고, 다시 힘을 내어 나아가는 과정을 반복하며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시길 바랍니다. 당신의 노력이 반드시 좋은 결실을 맺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