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을 먹어도

약을 먹어도 나아지지가 않아요

머리는 계속 멍하고 끝도없이 잠이 오고

몽롱한 와중에 계속 자살생각이 들고

학교에 가서도 이정도 높이면 죽겠다 싶어서 창문만 바라보고 있고 친구랑 간단히 대화하는 것도 힘들어서 밥도 거르고 잠만 자요

수면제때문에 늦잠을 자는데 불안해서 새벽에 서너번씩 깨고 집중은 하나도 안되고

잠에서 깨기까지 전부 꿈같고 죽으면 이 꿈을 깰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디에도 말하지 못하고 있어요

주변의 아무것도 저를 돕지 못할 것 같고

괜히 의지박약이라는 말만 들을까봐 남들 앞에서는 무표정으로만 일관해요

벌써 약 먹은지도 반년째인데 어째서 더 안좋아지기만해요

0
0
댓글 5
  • 프로필 이미지
    로니엄마
    사회복지사2급
    글을 읽으며 마음이 많이 아팠어요. 약을 먹은 지 반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머리가 멍하고, 끝없이 잠이 오고, 자살 생각까지 드신다니 얼마나 힘드실지 느껴져요. 학교에 가서도 창문만 바라보게 되고, 친구와 대화도 버겁고, 밥 대신 잠으로 버티며 지내는 자신을 보며 더 무력하고 지쳐가고 계신 것 같아요. 수면제 부작용으로 늦잠과 반복되는 각성이 이어지고, 깨어 있는 순간조차 현실감이 없어 마치 꿈속에 사는 듯 느껴지며 죽음을 통해서만 이 상황을 벗어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까지 드니 얼마나 외롭고 두려우실지 짐작이 돼요.
    
    이러한 어려움의 원인은 단순히 ‘의지 부족’이 아니에요. 약이 잘 맞지 않거나, 복용 용량이나 조합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 혹은 다른 심리·환경적 요인과 맞물려서 치료 효과가 더디게 나타날 수 있어요. 특히 약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심리 상담과 생활 조율, 지지적 관계가 함께 어우러져야 회복이 힘을 얻을 수 있어요.
    
    대처 방향으로는 첫째, 현재 경험하는 증상과 자살 충동을 반드시 주치의에게 솔직히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약물 부작용이 심하거나 효과가 없을 때는 조절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에요. 둘째, 혼자 감당하려 하지 말고 믿을 수 있는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에게 현재 상태를 알리고, 안전망을 마련하는 게 필요해요. 셋째, 약물 치료와 더불어 정기적인 상담, 규칙적인 생활 습관, 작은 활동 목표를 세워 나가는 과정이 병행될 때 조금씩 회복의 가능성이 열려요. 무엇보다 지금 겪는 고통이 당신 탓이 아니라는 점을 꼭 기억해주셨으면 해요.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잊지 마시고, 용기 내어 도움을 요청하는 것부터가 회복의 첫걸음이 될 거예요.
  • 프로필 이미지
    찌니
    상담교사
    지금 겪고 계신 고통에 대해 이야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얼마나 힘드실지 감히 상상하기도 어렵네요. 약을 반년이나 드셨는데도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더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시는군요.
    머리가 멍하고 잠만 오는 증상, 그리고 계속 드는 죽음에 대한 생각들은 우울증이 깊어졌을 때 나타나는 흔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수면제 복용 후에도 불안해서 잠에서 깨고, 일상생활이 힘들어지는 것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지금의 상황은 절대 의지박약 때문이 아닙니다. 몸이 아프면 병원에 가듯이, 마음이 아픈 건 치료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이미 병원을 다니고 계시지만, 지금 복용 중인 약이 본인과 잘 맞지 않거나 치료 방법의 변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 가서 지금의 증상들을 솔직하게 말씀해 보세요. 약을 바꾼다거나 치료 방법을 조절하는 등 전문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익명1
    반년째 차도가 없으면 걱정되시겠어요
    정신과 약이 드라마틱하게 효과가 나는 건 아니지만 꾸준히 치료를 받고 계신데 위험한 생각을 하고 계시니..
    의지와는 상관없죠
    그렇다고 누구에게 말하긴 무척 조심스럽죠
    고립된 생활은 더욱 자신을 힘들게 할거에요 
    그래도 마음을 나눌 수 있는 누군가..
    필요할 듯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익명2
    여행이라도 다녀오시는게 어떨까요 
    그럴땐 잠시 내려놓고 시선을다른데로 돌려야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난방고양이
    상담교사
    당신이 지금 얼마나 지치고 힘든 시간을 버티고 있는지 글에서 그대로 전해져요. 약을 반년이나 먹었는데도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더 무겁게 느껴진다면 얼마나 절망스러울지 이해돼요. 🫂
    
    이건 절대 당신이 “의지박약”이어서 그런 게 아니에요. 우울증 치료는 사람마다 반응이 다르고, 약도 여러 가지를 조합하거나 바꿔가며 맞춰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 약만으로는 부족할 수도 있고, 상담·치료 환경이 함께 필요할 때도 있어요.
    
    👉 하지만 지금 말씀해주신 상황은 혼자 두기에는 정말 위험해 보여요.
    자살 생각이 강하고, 구체적으로 방법을 떠올리고 있다면 즉시 전문적인 도움을 받아야 해요.
    
    한국에 계시다면
    • 📞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24시간, 무료)
    • 📞 정신건강위기상담 1577-0199
    • 📞 청소년 전화 1388 (전화, 문자, 채팅 가능)
    • 🚨 응급 상황일 때는 112 또는 가까운 응급실
    
    지금은 무엇보다도 안전을 확보하는 게 최우선이에요. 혹시 부모님, 가족, 선생님 등 믿을 수 있는 어른에게 “나 정말 위험한 생각이 든다”라고 바로 알려줄 수 있을까요?
    
    당신이 말한 “죽음으로 이 꿈을 깬다”는 바람은, 사실은 “지금의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절규예요.
    그만큼 절실한 이 순간에, 꼭 누군가와 연결되어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