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니
상담교사
정말 힘드시겠어요. 8년 동안 아이를 키우시면서 겪으신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얼마나 크셨을지 감히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아이의 산만함, 물건을 부수는 행동, 끊임없는 장난감 요구, 정리하지 않는 습관, 학습 부진까지 겹쳐 작성자님께서 느끼시는 스트레스와 좌절감이 얼마나 클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혼자 감당하기 버겁다고 느끼시는 것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작성자님의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덜어드리고 아이에게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몇 가지 현실적인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에게 어른과 같은 수준의 이해력과 자제력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아이의 발달 단계에 맞춰 짧고 명확하게 설명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로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집 안에서의 규칙을 명확하게 정하고, 규칙을 잘 지켰을 때는 칭찬이나 작은 보상을 제공하여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반대로 규칙을 어겼을 때는 미리 정해둔 벌칙을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합니다. 처음부터 완벽한 정리를 기대하기보다, 작은 영역부터 시작하여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격려해주세요. 예를 들어, "오늘 딱 5개만 정리해보자"와 같이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성공했을 때는 칭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조건적인 요구를 들어주기보다, 장난감을 사주는 기준과 시기를 정하고 아이와 함께 약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생일이나 특별한 날에만 사준다거나, 기존 장난감을 정리해야 새로운 장난감을 살 수 있다는 규칙을 정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책을 읽거나 놀이를 하는 등 긍정적인 상호작용 시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관심을 기울이고 사랑을 표현하는 것은 아이의 정서 안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아이의 단점이나 부족한 부분에 집중하기보다, 아이가 잘하는 것이나 긍정적인 면을 찾아 칭찬해주면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말에 귀 기울여주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 마음은 그렇구나", "속상했겠다"와 같이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 표현은 아이에게 큰 위로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서 잠시 벗어나 온전히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미 활동을 하거나 친구를 만나거나 휴식을 취하는 등 어머님께서 편안함을 느끼는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해야 합니다. 남편이나 가족, 친구들에게 솔직하게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도움을 요청하세요. 혼자 모든 것을 감당하려고 하면 지치기 쉽습니다.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부모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지지하는 모임에 참여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작성자님께서 느끼시는 고통과 어려움은 절대 혼자만의 것이 아닙니다. 많은 부모들이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전문가의 도움과 꾸준한 노력을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너무 자책하거나 포기하지 마시고, 위에 말씀드린 조언들을 바탕으로 조금씩 변화를 시도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힘드시겠지만, 아이를 믿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꾸준히 노력하시면 분명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응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