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1
저도 전문가는 아니지만, 완벽함을 추구하면서 생기는 조급증이 영향 있을 것 같아요
저는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편인데요
정리정돈뿐만 아니라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이런 성향이 있어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실수하거나 창피함을 당하지 않기 위해서 완벽하려고 하죠
그래서 나름 피곤해요
이런 완벽함도 ADHD인지 궁금해요
저도 전문가는 아니지만, 완벽함을 추구하면서 생기는 조급증이 영향 있을 것 같아요
말씀해주신 고민을 정리해보면, 실수나 창피함을 피하기 위해 지나치게 완벽하려는 성향이 있고, 이는 정리정돈뿐 아니라 대인관계에서도 나타나 피로감을 느끼신다는 점이에요. 이런 모습은 흔히 알려진 ADHD의 직접적인 특징이라기보다는 ‘완벽주의’ 또는 ‘불안’과 더 가까워 보여요. 다만, 일부 ADHD를 가진 분들이 반복된 실수 경험으로 인해 스스로를 더 강박적으로 통제하려다 완벽주의적 성향을 보이기도 하니 전혀 무관하다고 보기는 어려워요. 완벽하려는 마음은 ‘더 잘하고 싶다’는 진심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과도해지면 오히려 본인을 지치게 만들어요. 그래서 첫째, 스스로에게 “실수해도 괜찮다”는 허용을 조금씩 주는 연습이 필요해요. 둘째, 사람과의 관계에서 ‘완벽함’보다 ‘진심과 성실함’이 더 크게 다가간다는 사실을 기억하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질 수 있어요. 셋째, 완벽을 추구하는 대신 ‘충분히 괜찮은 수준’에서 멈추는 연습을 해보시면 삶이 훨씬 덜 피곤해질 거예요. 당신의 진지하고 성실한 마음은 이미 큰 힘이에요. 완벽하지 않아도 충분히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는 걸 잊지 않으셨으면 해요.
말씀 감사합니다 내려놓으려고 노력해볼게요
저도 완벽보다 빈틈을 보여주긴 싫어요 ㅠ
빈틈도 맞는거 같아요 괜히 뒷말 듣고 싶지 않더라구요
완벽주의는 그 자체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의 증상은 아닙니다. 하지만 두 가지는 서로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종종 자신감 부족이나 불안을 느끼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완벽주의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ADHD의 충동성 때문에 한 행동을 후회하며, 다음에는 실수를 하지 않으려 지나치게 완벽을 추구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완벽주의 성향 때문에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고 계시거나, 다른 ADHD 증상들이 함께 나타난다면 전문가와 상담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자신감이 부족해서 완벽주의적인 행동을 하는 것도 있는데 adhd가 조금 있겠네요
헉 진짜요? 이번 주제는 정말 여러번 깜짝놀라네요.. 완벽함도 증상의 하나일수있다니.. 하아..
완벽함이 adhd의 증상은 아니라도 연관은 있는거 같아요
마감이 가까워져야만 속도가 붙을 때가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