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걱정이 되시겠어요. 아이가 산만하지만 좀 더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 좋겠습니다.
잠시도 가만 있지 못하는 ADHD
내가 아는 젊은 부부는 아들만 둘이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아이돌보미 등 육아 시설이나 도움을 받을 기회가 많지 않았던 작은 지방 소도시에서 살았던 부부는 맞벌이를 하다보니
아이를 낳자마자 시골 시댁에 아이를 맡기고 주말에 가서 잠시 돌보고 오는 생활을 7년간 계속했다. 시부모님은 불면 꺼질세라 원하는건 뭐든 다 들어주며 관용적이고 너그럽고 포용적으로 사랑을 듬뿍 쏟으며 두 아이를 키우셨다.
큰 아이가 초등학교 들어가면서 데리고 와서 같이 살게 되었는데 그때부터 큰아이의 이상 조짐을 알게 되었단다.
초등학교 1학년 담임선생님의 상담요청.
아이가 잠시도 가만 있지 못하고 수업시간 쉬는 시간 상관없이 아무데나 돌아 다닌다는것. 그냥 돌아 다니는것도 아니고 씩씩 웃으며 장난 치는것처럼 주변의 아이들을 건드리고 치고 뒷통수나 등을 가볍게 툭치고 도망가고 아무리 달래고 가라 앉히고 야단을 쳐보고 주의를 줘봐도 오히려 더 심해질뿐 멈추게할 방법이 없다는것. 씩씩 웃으며 그걸 즐긴다는것
그때부터 부부의 노력과 고뇌 고통이 시작 되었다.
상담과 치료가 오랫동안 계속되는데 그게 쉽게 호전되는게 아니었다
모든걸 허용하고 그저 지극정성 사랑을 가득 쏟아부으신 어르신들품에서 공동체 생활에서 지켜야할 규칙과 질서 예의를 익힐 틈이 없었고 모든게 자기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자란데다 주말에만 잠시 나타났다 사라지는 부모에게서 오는 분리불안장애와 애정결핍, 집착, 그 모든게 얽혀 나타난 결과란다
지나치게 산만해서 수업도 학습도 또래에게도 집중하지 못하고 겉돌게 되니 아이들도 싫어하고 피하게 되고 학교 생활은 재미도 없고 집안에 박혀 장난감 갖고 종일 혼자 논다거나 시골가면 밖에서 맘껏 뛰어 다니며 논다거나 하는데 동생이랑 함께가 아니면 거의 혼자 놀게 된다는것이다.
부부의 지극정성 사랑과 보살핌에도 세월이 지나도 크게 변화가 없어 애타는 부부를 보면 늘 마음이 아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