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1
몸이 하루가 피곤하시겠어요.
기업 전용 멘탈케어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싶다면?
지금 넛지EAP 이용해보기
마음을 챙기는 습관,
트로스트 앱과 함께
만들어 보세요

저는 가만히 있으면 불안 ADHD같아요.
끊임없이 움직이고 뭔가를 해야할것만 같아요.
먹으면 운동 해야할것같고,
할일이 없으면 청소라도 해야 할것같고...
그래서 책을 읽을수가 없어요.
책을 읽고 가만히 있는 그 시간이 아깝게 느껴지고
뭐라도 해야할것만같아서 마음이 불안해져요.
몸이 하루가 피곤하시겠어요.
뭐든지 움직이는 것은 좋은거 같아요 그래도 책을 못읽어내는 것은 약간의 집중력이 필요할 듯 싶네요
저도 그런적있어요. 그 불안감 극복하고싶네요
책을 읽으려고 할 때 불안한 마음이 드는 것,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가만히 있는 시간을 낭비라고 느끼고 끊임없이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시는 것 같아요. 이는 집중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ADHD의 특성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책을 읽는 행위는 단순히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내면을 채우고 성장시키는 의미 있는 활동입니다. 자신을 위한 휴식과 재충전의 시간이 될 수도 있죠. 이러한 관점으로 책 읽기를 바라본다면, 불안한 마음을 조금은 내려놓을 수 있을 거예요. 아주 짧은 시간이라도 좋습니다. 하루에 5분, 10분씩 목표를 정해 부담 없이 책 읽기를 시도해 보는 건 어떨까요? 짧은 시간이라도 꾸준히 하다 보면, 가만히 있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극복하고 책 읽는 즐거움을 발견하실 수 있을 겁니다.
저도...특히 집안에 있으면 조용히 명상이나 독서하고 싶은데 자꾸 다른 거 다른거 생각이 나나고 몸을 움직이고 꼼지락 거려요 좀 가만히있고 싶은데 말이죠
ADHD 증상도 워낙 다양하고 정도도 그래서 어려운거 같아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불안하시다고하면 불안장애와 같은 결이 있는거 아닐까요?? 심리적인 요인은 워낙 다양해서 어렵네요
가만히 있으면 마음이 불안하고 끊임없이 움직이거나 뭔가를 해야 할 것만 같은 상태 때문에 책을 읽는 시간조차 아깝게 느껴지는 모습이 많이 힘드실 것 같아요. 이런 끊임없는 활동 욕구와 불안감은 ADHD에서 흔히 나타나는 ‘과잉행동’과 ‘내적 불안 조절 어려움’과 관련될 수 있어요. 단순한 성격 문제가 아니라 뇌 기능 특성에서 비롯된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습니다. 원인을 보면, ADHD는 주의력과 자기조절 기능이 약해 가만히 있는 시간이 불편하고, 지속적인 자극이나 행동을 통해 마음을 안정시키려는 경향이 있어요. 그래서 휴식이나 집중 활동 중에도 마음이 불안해지고, 다른 일을 해야 할 것처럼 느끼는 것이지요. 대처 방법으로는,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허용하면서도 마음을 안정시키는 전략이 좋아요. 짧은 스트레칭, 손 동작이나 작은 체조를 책 읽기 전후에 루틴으로 넣어 불안을 해소하고, 책 읽는 시간은 타이머를 사용해 일정 구간만 집중하도록 구조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가만히 있는 시간도 휴식과 집중의 일부’라고 받아들이며, 마음이 불안할 때 짧게라도 몸을 움직이는 안전한 루틴을 만들어주는 것이 도움이 돼요. 이렇게 하면 불안을 조금씩 줄이며 원하는 활동을 즐길 수 있어요.
한가지 증상 만으로 ADHD라고 판단을 내리는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해요.. 그래야 치료도 받죠
해야 할 일을 계속 미루면서 스스로 답답해질 때가 있어요.